혹시 여러분의 퇴직연금 계좌, 오랫동안 그대로 방치하고 계신가요? 많은 분들이 퇴직연금에 돈을 쌓아두기만 하고, 어떻게 운용할지 몰라 원리금보장 상품에 그대로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관리되지 않는 퇴직금은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해 실질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여러분의 퇴직금을 다시 '깨우기' 위해 도입된 제도가 바로 디폴트옵션(Default Option), 즉 사전지정운용제도입니다. 오늘은 디폴트옵션이 무엇인지, 꼭 알아야 할 관련 용어들, 그리고 디폴트옵션을 활용해 퇴직연금을 똑똑하게 관리하는 방법까지 체계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디폴트옵션(Default Option)이란?
디폴트옵션은 "아무런 운용 지시가 없을 때, 미리 정해둔 방식대로 자동 투자해 주는 제도"입니다.
퇴직연금 DC형이나 IRP 가입자가 별도 운용 지시를 하지 않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사전에 지정한 디폴트옵션 상품으로 자동 투자가 시작됩니다. 쉽게 말해, 스마트폰의 '기본 설정'처럼 투자 지시를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용되는 투자 방식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디폴트옵션과 함께 알아야 할 필수 용어
- 상품 : 디폴트옵션으로 운용할 수 있는 금융 투자 상품을 의미합니다. 예금, 적금 같은 원리금보장형 상품부터 펀드(TDF, BF 등)까지 다양하며, 위험도에 따라 구분됩니다.
- 매도 : 보유 중인 금융 상품을 파는 행위입니다. 디폴트옵션으로 투자된 상품도 언제든지 매도할 수 있습니다.
- 해지 : 디폴트옵션 자동 적용을 원치 않는 경우 적용을 제외하거나, 디폴트옵션 상품을 변경 지정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 수수료 : 퇴직연금 운용 및 관리에 드는 비용입니다. 상품별 수수료율을 꼭 확인하고 비교해야 합니다.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활용 방법
1. 내 투자성향 확인 및 디폴트옵션 상품 지정
퇴직연금 사업자가 제공하는 디폴트옵션 상품 목록을 살펴본 뒤, 자신의 투자성향(안정형, 중립형, 공격형 등)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세요.
상품의 위험도와 수수료를 꼼꼼히 비교해보고, 반드시 하나의 상품을 지정해야 합니다.
2. 자동 운용 시작
디폴트옵션 상품을 지정하고 별도 운용 지시를 하지 않으면, 일정 기간 뒤(통지 후 2주 경과) 자동으로 매수가 시작됩니다.
새로 납입된 퇴직금이나 만기 상환금 등이 디폴트옵션 상품으로 투자됩니다.
3.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
디폴트옵션으로 운용되더라도 수익률 점검과 상품 변경은 언제든 가능합니다.
성과가 만족스럽지 않다면 매도 후 다른 상품으로 이동하거나, 새로운 디폴트옵션 상품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필요한 경우 디폴트옵션 적용 제외
퇴직 시 일시금 등 특정 자금에 대해 디폴트옵션 자동 투자를 원치 않는다면, '해지' 또는 '적용 제외'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 투자 상품을 파는 '매도'와는 구분되는 기능입니다.
마무리하며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 관리의 새로운 기본이 될 수 있습니다.
자동 운용에만 기대지 말고, 자신의 투자 목표와 성향에 맞춰 상품을 신중하게 지정하고,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바로 여러분의 퇴직연금 계좌를 점검해 보세요!
디폴트옵션을 아직 지정하지 않았다면 금융회사에서 안내받고, 나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해보시기 바랍니다.
'경제 용어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거금이란? 마진콜, 반대매매, 레버리지.. 투자의 위험과 기회 (0) | 2025.05.02 |
---|---|
주식 시장을 움직이는 핵심 용어, 그 이면을 읽는 기술 (0) | 2025.04.30 |
신용카드 혜택과 조건, 용어부터 제대로 알고 비교하자! (2) | 2025.04.29 |
경기순환 사이클, 지금은 어디쯤? 경제 흐름을 읽는 4단계 공식 (5) | 2025.04.25 |
CBDC란? 한국은행 '프로젝트 한강'으로 보는 디지털화폐의 미래 (1) | 2025.04.24 |